웹진 7월호
특집/기획
화제
인물/역사
칼럼/문학
고국소식
재단소식
목록보기

특집/기획

 

특집1



이상덕 신임 재외동포청장은 7월 31일 취임식에서 대한민국과 동포사회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인류 공동번영과 세계평화 증진에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재외동포 및 국민과의 공감을 토대로 늘 개방하고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인천 연수구 소재 재외동포청 본청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그는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6월 재외동포들의 오랜 염원을 담아 출범시킨 재외동포청의 수장으로서 ‘지구촌 한민족 공동체 구축’이라는 국정과제 실현을 위해 매진하겠다”고 포부를 피력했다.


특히 신생 기관으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직원들이 모인 만큼 하나 된 팀의 조직문화가 자리 잡도록 이끌면서 공직자로서 신념을 갖고 동포사회를 섬길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동포사회가 대한민국과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소중한 해외 역량으로 성장한 것을 잘 반영해 한민족의 총체적 역량이 확대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청장은 주인도네시아 대사와 주 싱가포르 대사, 외교부 동북아시아 국장, 주중 공사참사관 등 다양한 보직을 역임한 정통 외교관 출신이다.


    다음은 취임사 요지.

  윤석열 정부가 작년 6월, 재외동포들의 오랜 염원을 담아 출범시킨 재외동포청에서 ‘지구촌 한민족 공동체 구축’이라는 국정과제 실현을 위해 여러분들과 함께 일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우리 동포청은 출범 이후 불과 1년여의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재외동포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시행계획을 마련하여 재외동포정책 체계화의 기초를 이루었습니다.

  원폭피해자, 파독근로자, 사할린, 고려인 동포, 입양인 동포들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 등 재외동포 정책의 외연도 확장하였습니다. 또한 한글학교 지원, 한글학교 교사 초청연수 강화 등 재외동포의 정체성 강화를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았습니다.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와 세계까지 거두었습니다. 재외동포청이 지난 1여 년간 많은 일을 해왔지만, 앞으로도 적지 않은 과제를 안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비록 재외동포청이 설립되었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재외동포와 재외동포의 거주국 간의 관계설정에 있어서도 보다 세심한 주의와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기도 합니다. 저로서도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재외동포들께서 공감하는 방향으로 지혜를 모한인회장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글로벌 한인 네트워크도 더욱 내실있게 다졌습니다.

  최근에는 재외동포들을 위한 본인인증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도입하는 성과아 나가겠습니다.

  우리 동포청이 신생 기관인 만큼,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불가피하게 모였지만, 내부적으로 조속한 시일내 원팀의 조직문화와 체계를 갖추어 나가야 합니다. 우리 동포청이 ‘지구촌 한민족 공동체 구축’을 지향한다면, 우리 청 자신이 그러한 과제를 이행할 조직문화와 역량을 스스로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정부기관의 구성원으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한다는 공직 가치에 충실해 줄 것을 당부합니다. 공직에 대한 신념과 자부심이 없으면, 이러한 업무를 장기간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그러한 공직가치로 무장된 바탕 위에, 창의적·창조적 사고로 업무에 임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습관을 키워 나갔으면 합니다. 일을 위한 일을 하는 것은 과감히 탈피해 주기 바랍니다.

  끝으로 최근 들어 현장에서 절실하게 느낀 것이 있습니다. 동포사회는 더 이상 모국의 종속변수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 한민족의 디아스포라는 공식적기록으로는 1902년 제물포항에서 사탕수수 노동자 121명이 하와이로 떠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그 이전에도 고구려·백제의 유민, 일제 강점기 만주·사할린 이주 등 한민족의 디아스포라는 오랜 역사가 있습니다. 재외동포사회 형성의 배경에는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자리잡고 있기도 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우리의 재외동포정책은 오랫동안 재외동포사회와 본국과의 민족적, 감성적 유대에 초점이 맞추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동포사회는 과거와는 판이합니다. 이제는 경제적으로도 모국과 도움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우리의 소중한 해외 역량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주류사회 진출이 활발하고, 직전 근무하던 인도네시아에서도 많은 동포분들이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경제적 성취를 이루며 대한민국의 소중한 자산으로 성장하신 것을 목도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재외동포사회의 위상 변화가 세계 한민족의 총체적 역량 확대로 이어지도록 우리 정부도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윤석열 정부가 재외동포청을 신설한 이유입니다.

  지금 우리는 소위 동시다발적이고 복합적인 글로벌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재외동포사회와 모국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치열하게 고민한다면, 새로운 도약의 길을 찾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저로서도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750만 재외동포들의 기대에 어긋남이 없는 동포청이 되도록 몸을 던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t his inauguration ceremony on July 31, Lee Sang-duk, the new commissioner of the Overseas Koreans Agency, presented his vision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Korea and the Korean diaspora can develop together and contribute to the common prosperity of mankind and world peace. To this end, he said he will always open and communicate with overseas Koreans and the Korean people based on empathy.


“As the head of the OKA, which was launched by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in June last year in response to the long-standing wishes of overseas Koreans, I will strive to realize the national task of building a global Korean community,” Lee said at his inauguration ceremony at the OKA headquarters in Yeonsu-gu, Incheon.


In particular, as the agency is a new organization with employees from diverse backgrounds, he emphasized that he will lead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of a united team and lead the way to serve the Korean compatriot community with conviction as a public servant.


“We will strive to expand the collective capabilities of the Korean diaspora, reflecting its growth into a valuable overseas capacity that can provide assistance and support to the Republic of Korea.” Lee is a career diplomat who has served in various capacities, including ambassador to Indonesia and Singapore, director of the Northeast Asia Bureau a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minister counselor to Chin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Lee’s inaugural remarks.

  In June last year,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responded to the long-standing wishes of overseas Koreans to launch the Overseas Koreans Agency, and I am honored to be working with you all to realize the national task of “building a global Korean community.” Despite the short period of time since its inauguration, the OKA has established a Basic Plan for Overseas Korean Policy and prepared an implementation plan, forming the basis for systematizing overseas Korean policy.

  We have also expanded the scope of overseas Korean policies by establishing policies for atomic bomb victims, “padok” workers dispatched to Germany, Sakhalin, Koryo compatriots and adopted Korean compatriots. We have also spared no effort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overseas Koreans by supporting Hangeul schools and strengthening training for Hangeul school teachers. We have also successfully held the World Korean Business Congress and the World Korean Association Presidents’ Congress, further strengthening the global Korean network.

  Recently, we have also achieved a breakthrough in introducing an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for overseas Koreans. While the OKA has done a lot in the past year, I know that there are still many challenges ahead. Although the OKA has been established, in some regions of the worl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seas Koreans and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still needs more attention and consideration, and I will continue to gather wisdom on these issues in a way that resonates with overseas Koreans.

  As a new organization, the OKA has inevitably gathered members with diverse backgrounds, but internally we need to establish a one-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system as soon as possible. If the OKA aims to “build a global Korean community,”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agency itself to ha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capacity to fulfill such a task.

  Above all, I ask you to stay true to the public service value that we, as members of a government body, are dedicated to serving the country and its people. Without belief and pride in public service, it will be difficult to bear this kind of duty in the long term. Armed with these public service values, I hope that we will develop the habit of thinking creatively and imaginatively, and performing our work efficiently. I hope that we will move away from doing things for the sake of doing things.

  Finally, there is something that I have felt very keenly in the field recently. It is that the diaspora community is no longer a dependent variable of the home country. According to official records, our diaspora began in 1902, when 121 sugarcane workers from Jemulpo Port left for Hawaii.

  However, the diaspora of the Korean people has a long history before that, such as the diaspora of Goguryeo and Baekje, and the migration to Manchuria and Sakhali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s a painful part of our history lies behind the formation of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our overseas Korean polic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 government has long focused on the ethnic and emotional ties between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and the home country.

  But today’s diaspora is not what it used to be. They have grown into a valuable overseas force that can help each other economically and provide support to their home countries.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y are actively entering mainstream society, and in Indonesia, where I worked, I was able to witness many of them overcome initial difficulties, achieve economic success and grow into valuable assets of Korea.

  Our government should strive to ensure that this change in the status of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leads to the expansion of the collective capabilities of the Korean people around the world. This is why the Yoon Suk Yeol administration established the OKA.

  We are facing so-called simultaneous and complex global challenges. If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and the home country are willing to put their heads together and think hard about these challenges, we will be able to find a new path forward. I will continue to listen to the voices on the ground and strive to fulfill the expectations of the 7.5 million overseas Koreans. Thank you.

퀵메뉴
  • 목차보기
  • 퍼가기
  • 인쇄하기
  • 탑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