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7월호
특집/기획
화제
인물/역사
칼럼/문학
고국소식
재외동포청소식
목록보기

화제

 

이슈 & 화제


제3 세션에서는 임영상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송금주 인천광역시 디아스포라유산과장이 ‘재외동포를 위한 소통·교류 공간 재외동포웰컴센터’, 주상현 광주광역시 외국인주민과장이 ‘고려인 안정적 정착 및 사회 참여 지원’, 최상구 지구촌동포연대(KIN) 대표가 ‘국내 동포 정착을 위한 정책 대화’, 임미은 안산 선일중학교 교사가 ‘러시아권 이주배경 학생의 현황과 정책 지원 방안’이라는 주제로 각각 발표를 했다.


최상구 지구촌동포연대(KIN) 대표는 발표에서 무국적 동포도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무국적 동포는 식민지배의 결과인 일본 조선적 동포, 사할린 동포, 구소련해체과정에서 형성된 러시아, CIS지역 동포, 해외 입양 동포 중 거주국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동포, 중국에서 태어난 탈북민의 자녀(북한이탈주민법상 대상 아님)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국적 동포는 거주국에서 지위가 불안정한 상태이며, 모국으로의 귀환 보장과 국내 법적 지위 보장이 필요하다. 그러나 재외동포법상 대상이 아니라 출입국과 법적 지위가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외국민(영주자격 보유) 중 국외 출생으로 주민등록이 없는 재외국민은 한국 국민이지만 국내체류 시 외국인에 준하는 처우를 받고 있다.


그러나 국민으로서 의무는 내국인과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다.


또한 건강보험 가입 및 보험료 산정, 기초생활수급자격 배제, 국민임대주택 신청 불가, 특정 대출 이용 불가 및 은행 대출시 이자율 내국인과 다른 불평등한 처우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육아 지원금은 현재 위헌판결 받은 상태이고, 영주귀국신고를 하고 영주자격 포기해야 내국인과 동일한 대우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거주국과 한국을 오가며 생활하는 동포들도 있는 점을 감안해 일정기간 이상 체류한 재외국민에 대해서는 내국인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특히 동포차별 해소와 공동체 회복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정책은 중국, 러시아 등 공산권 국가의 3백만 동포들을 제대로 품지 못한 출신국에 따른 차별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왔다.


재외동포법 제정 자체가 동포를 선택적으로 대우하는 차별적인 정책이다. 국내체류 동포도 노동력의 수요공급, 내국인의 일자리 보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식민지배, 분단, 한국전쟁과 냉전의 아픔을 한반도와 함께 겪어야 했던 동포들에게 일제가 행한 인종차별과 인권유린에 대한 피해구제와 원상회복은 국가의 책무이며, 모국과 교류가 끊어져 공동체로 품지 못했던 동포들의 귀환과 자유왕래의 권리실현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포사회의 모국 기여에 대한 응답도 있어야 한다고 했다. 재외동포들은 험한 직종에서 일하며 한국 경제를 이끌어 왔다는 점에서 특히 조선족 동포들의 기여에 대한 적정한 평가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동포들은 한국인을 같은 동포라 생각하는 반면 한국인은 동포들을 외국인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한국인 스스로가 동포라는 공동체의 일원임을 자각하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최 대표는 결론적으로 기본법 제정으로 재외동포정책은 재외국민 중심에서 벗어나 외국국적 동포와 무국적 동포까지 포함해야 하며 이에 부합하는 정책수립과 이를 뒷받침하는 법과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국내 동포들의 상이한 체류 조건을 파악해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재외동포청과 동포사회, 시민사회의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현장의 의견이 수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Professor Emeritus Lim Young-sang of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rved as the moderator of the third session.


Song Geum-ju, director of the Diaspora Heritage Division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presented on “The Overseas Korean Welcome Center: A Space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for Overseas Koreans”; Joo Sang-hyun, director of the Foreign Resident Divis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on “The Stable Settle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of Koryo Saram”; Choi Sang-gu, president of the Korean International Network (KIN), on “Policy Dialogue for Settlement of Overseas Compatriots in Korea”; and Lim Mi-eun, a teacher at Ansan Seonil Middle School, on the “Current Status of Immigrant Students of Russian Backgrounds and Policy Support Measures.” Choi Sang-gu drew attention by suggesting that support should also be provided to stateless compatriots.


It was argued that stateless compatriots should also include Japanese Korean compatriots as a result of colonial rule, Sakhalin compatriots, compatriots in Russia and the CIS region formed during the dissolution of the former Soviet Union, compatriots adopted overseas who were unable to acquire the citizenship of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and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China (who are not subject to the North Korean Defectors Act).


Stateless compatriots are in an unstable state in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and they should be guaranteed a return to and legal status in their home country.


However, they are not subject to the Overseas Koreans Act, so their immigration and legal status are not guaranteed.


Among overseas nationals (with permanent residency status), compatriots who were born overseas but do not have resident registration are Korean citizens but are treated as foreigners when staying in the country.


However, their obligations as citizens are applied in the same way as domestic citizens.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they are treated unfairly when it comes to health insurance subscription and insurance premium calculation, exclusion from basic livelihood security eligibility, inability to apply for national rental housing, inability to use certain loans and different interest rates when borrowing from banks.


In addition, their child support funds have currently been ruled as unconstitutional by a court, and only compatriots who report they have permanently returned to Korea and have renounced their permanent residency status in other countries can receive the same treatment as Korean nationals.


Therefore, considering that there are compatriots who live between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and Korea, it is desirable to treat overseas Koreans who have st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same manner as Korean nationals, he explained.


Choi emphasized that eliminating discrimination against compatriots and restoring the community are urgent issues.


The policy so far has been to continuously implement discriminatory policies based on country of origin, which has resulted in a failure to properly embrace 3 million compatriots in communist-sphere countries, such as China and Russia.


The enactment of the Overseas Koreans Act itself is a discriminatory policy that differentially treats compatriot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compatriots residing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y and demand for labor and protection of jobs for Korean nationals.


He argued that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to provide relief and restoration for the damages caused by the racial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by Japanese colonial rule and to restore the status of overseas compatriots who had to suffer the pain of colonial rule, division,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with the re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at the return and freedom of movement of compatriots who were cut off from their home country and could not be accepted within the community should be guaranteed.


퀵메뉴
  • 목차보기
  • 퍼가기
  • 인쇄하기
  • 탑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