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네바다주 리노 한인회 회장이 지난 2018년 10월 세계한인회장회의 참석 차 한국에 방문한 적이 있었다. 이때 리노 회장이 내가 발간한 ‘한국어 속뜻사전’에 대응 영어 단어들도 부기 된 것을 알게 되면서 2~3세 교육에 필요하겠다면서 50권을 구매해 간 적이 있다. 필자의 한국어 관련 저작은 이밖에도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 ‘속뜻풀이 초등국어사전’, ‘선생님 한자책’, ‘교과서 한자어 속뜻사전’, ‘한국어 속뜻사전(앱)’(구글&애플), ‘고품격한국어: 사자성어, 상용속담’ 등이 있다. 한국어는 70%가 한자어로 되어 있고, 특히 학습 언어의 경우 95% 이상이 한자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한자는 자형(모양), 자음(소리), 자의(의미)으로 나눠지는데 한국어 공부는 많은 단어들의 자의를 자주 접하고 이와 친숙해지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과 해외에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이 달라야 하고 해외에서도 대상에 따라 달라야 할 것 같다. 먼저 대상이 누구냐를 확실히 해야 한다. 한국어를 처음 접해보는 외국인인지 아니면 한인 2, 3세 인지를 구분해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한국어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외국인의 경우 알파벳 격인 한글을 위주로 교육을 해나가야 한다. 반면 한인 학생의 경우 좀 더 어려운 단어 및 표현을 배울 수 있도록 분리해 교육해야 한다. 외국인과 한인을 함께 교육하게 되면 한국어에 친숙한 한인들은 지루함을 느낄 수 있고, 외국인의 경우 한인들과 함께 수업을 듣기엔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모든 학생에게 한국어 사전을 보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휴대기기로 검색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지만 한국어 사전을 이용하면 장점이 더욱 많다. 휴대기기로 검색하면 소위 QIQO(Quick In, Quick Out) 현상으로 빨리 습득하지만 빨리 잊게 된다. 하지만 종이사전을 이용하면 비슷한 단어들과 한자어 등 여러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 좀 더 오래 기억하게 된다. 한국어를 잃어가는 한인 2, 3세들이 늘고 있다. 미국에서 살아가는 한인 학생들에게 영어는 ‘생활’이다. 하지만 한국어는 ‘뿌리’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요즘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외국인들도 한국어를 배우려고 하는 상황이다. 그만큼 한국어는 경쟁력이 되고 있다.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부모를 둔 한인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지 않는 것은 기득권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과 다름없다. 만약 한국어 배우는 것을 꺼리는 학생들이 있다면 부모들은 글로벌 시대에 한국어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경쟁력인지 깨닫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LA, 뉴욕, 애틀랜타 등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한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취업을 위해서도 한국어 구사 능력은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한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부모를 둔 자녀들은 ‘걸어 다니는 사전’을 갖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부디 많은 한인 학생이 한국어의 소중함을 잊지 말고 부모와 한국학교, 한국어 사전 등을 이용해 능동적으로 한국어를 공부할 수 있길 바란다. 전광진 성균관대 명예교수
In October 2018, the president of the Reno Korean Association in Nevada, United States, visited Korea to attend the World Korean Association Conference.
When he realized that I had published the “Korean Language Inner Meaning Dictionary” (etymology) with corresponding English words, he purchased 50 copies, saying it wa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My other works on Korean language include “Korean Hanja Inner Meaning Dictionary,” “Korean Language Inner Meaning Diction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ers’ Hanja Book,” “Textbook Hanja Inner Meaning Dictionary,” “Korean Language Inner Meaning Dictionary” (app) (Google & Apple) and “Classy Korean: Idioms and Common Proverbs.”
Seventy percent of the Korean language is made up of Hanja (Chinese characters), and in the case of learning the languag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more than 95 percent.
Chinese characters are categorized into character strokes (shape), character sound (pronunciation) and character signification (meaning), and it’s important to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character meaning of a large range of words when studying Korean.
I think the way to teach Korean should be different in Korea and abroad, and it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udience.
First, we need to be clear about who the target audience is.
You need to differentiate between foreigners who are new to Korean and second- or third-generation Koreans.
For foreigners who have never been exposed to Korean, you should focus on the Korean alphabet, Hangeul.
On the other hand, Korean students should be taught separately so that they can learn more difficult words and expressions.
This is because foreigners and Koreans may feel bored if they are taught together, and foreigners may find it difficult to take classes with Koreans who are familiar with Korean.
It’s also important to provide every student with a Korean dictionary.
Some people may think that they can just look things up on their mobile devices, but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using a Korean dictionary.
When using a mobile device, the so-called QIQO (Quick In, Quick Out) phenomenon is a quick way to learn but a quick way to forget.
However, with a paper dictionary, you can learn a lot of similar words and the Hanja they use, and absorb other information that you will remember for a longer period of time.
Many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s are losing their Korean language.
For Korean student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English is their “everyday life.”
However,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we shouldn’t forget that Korean is our “root” language.
Nowadays, as Korea’s status is increasing, foreigners are trying to learn Korean. Korean is becoming a competitive advantage.
If Korean students with Korean-speaking parents don’t learn Korean, they are giving up their privilege.
If you have students who are reluctant to learn Korean, it’s important for parents to help them realize how competitive it is to be able to speak the language in a globalized world.
Especially in places like Los Angeles, New York City and Atlanta, where there are large Korean populations, and at Korean companies with a strong presence, the ability to speak Korean can also be a huge advantage in finding a job.
For a child to have Korean-speaking parents, it is like they have a “walking dictionary.”
I hope that many Korean students will not forget the importance of Korean and will actively study Korean utilizing flexible resources, including their parents, Korean language schools and Korean dictionaries. Jeon Kwang-jin, professor emeritus, Sungkyunkw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