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7월호
특집/기획
화제
인물/역사
칼럼/문학
고국소식
재외동포청소식
목록보기

고국소식

 

정책돋보기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소장 유기옥)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이저 플레이스 남대문에서 ‘국내 고려인 청소년, 소통과 통합을 위한 실질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고려인 동포의 가족 단위 이주가 늘고 고려인 밀집 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의 소중한 구성원으로서 자신감을 갖고 미래를 준비해나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발제를 맡은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송영호 연구위원은 ‘국내 고려인 청소년 현황과 지원 방안’이라는 주제로 국내 거주 고려인 동포와 청소년의 현황을 소개한 후, 주요 현안과 지원 방안을 제안했다.


언어 장벽과 학업 부적응 문제가 가장 큰 현안

   고려인 동포 청소년 주요 현안 3가지는 첫째, 언어 장벽과 학업 부적응 문제가 가장 크다.

  한국어 구사능력이 낮은 특징 때문에 밀집지역 학교의 경우 고려인 동포 청소년은 또래 그룹과의 친밀성이 크고, 당장 한국어를 못해도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한국어 습득 유인이 낮다.

  둘째, 고려인 청소년 돌봄, 즉 방과후 학교의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지자체 차원에서의 조례를 제정하고, 이들을 돕기 위한 돌봄 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용자가 저조하거나 여전히 인프라가 부족하다.

  셋째, 안정적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진학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이주배경청소년 대상 사업이 초등에서 고등까지 학습 지원 중심으로 주로 설계되어 있지만, 후기 청소년의 진학, 취업 그리고 결혼, 가족형성에 이르는 청년의 사회경제적 적응·자립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고려인 청소년 지원 방안으로는 러시아어로 배우는 한국어 교육, 방과 후 돌봄 서비스가 마련돼야 한다.

  지자체와 지원단체(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교육협력센터의 공유학습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교육 체계 안에서 진로진학 프로그램이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가 중요하다.

  또 ‘고려인동포’ 행정통계 및 조사통계 산출이 절실하다.

  고려인 동포 국내 정착 규모, 체류자격 변경, 세대별·연령별·거주기간별·거주지별 통계 산출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청년의 학교 안과 밖 규모 파악해야 한다.



특성 등 고려해 맞춤형 교육 이뤄져야


한국교육개발원 윤현희 연구위원은 ‘고려인 밀집지역 소재 학교 혁신 방안’이라는 주제로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 실태를 소개하고, 혁신 방안과 과제를 발표했다.


고려인 학생이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고, 밀집학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현재의 교육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들이 아주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우리나라 교육부 차원에서는 다문화교육이라는 정책이 변화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 실태(교사 인식)는 첫 번째로 한국어가 미숙한 외국인 가정 학생, 중도입국 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76.9%), 그에 따라서 교사 소진이 심화(59.1%)되고 있는데, 정책·제도적 지원은 미비(44.4%)하고, 지역사회나 구성원 간의 협력도 아주 미흡(27.8%)하다.


게다가 교사 전문성 부족(24.3%), 특히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가진 교사들이 많지 않은데, 교사들에게 너무 많은 부담이 지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주배경학생과 비이주배경학생 간의 분리 현상(21.1%)이 나타나고 있다.


밀집학교 환경에서는 한국인 학생들이 오히려 소외되고 있다.


따라서 맞춤형 교육이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주배경학생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그들이 우리 교실에서 같이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을 때 한국어와 지금의 지원이 근거가 되지만 그것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 그들의 특성, 환경, 배경 등을 고려해서 맞춤형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러시아 학생은 러시아에서는 우수 학생이었으나 한국에 와서 투명인간, 쓸모가 없는 사람이라고 느끼는, 이런 가슴 아픈 일들을 보고, 이 학생들이 제대로 교육받고 있지 못하고 있구나하는 안타까움이 있는 실정이다.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학교의 상황을 모두가 성장할 수 있는 정상적인 교육 활동으로 회복하는 게 혁신의 의미이고, 그것을 위한 학교 운영 방안이 혁신방안이다.


다문화교육이 모든 학생들을 위한 교육으로서 모두의 성장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시민교육 관점으로 갈 필요가 있다.


다문화교육 체계 구축 방안으로 이주배경학생 교육과정을 개발(이중언어 교육과정, 한국어교육 컨텐츠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 강화 교육 필요


경희대 송석원 교수는 ‘국내 고려인 정책과 차세대 지원 방안’을 주제로 국내 고려인 정책 환경과 과제, 차세대 지원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우선 국내 거주 고려인 정책 과제로는 법적 처우 형평성을 제시했다.


일시 체류자(외국인) 아닌 정착 주민(동포)으로 인식하고, 동포 인적자원 활용(방문취업제 폐지), 국내 거주 외국국적동포 출신국 간 차별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차세대 고려인 동포 보듬기 정책으로 인간으로서 익혀야할 기본교육 이외에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교육이 추가되고, 거기에 세계시민교육을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차세대 고려인 경쟁력 강화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외국인에서 동포로 인식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들이 우리 사회의 소위 3D업종에 종사하는 인력으로서가 아니라, 우리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인재라고 하는 관점에서, 인재로 키우기위한 그런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국내 고려인 청소년은 한반도 통일의 ‘마중 물’로서 사회주의 체제에서 자본주의 체제로 체제 전환을 경험한 사람들이다.


그런면에서 한국이 미래 통일을 이룬다고 했을 때, 북한 주민들에게 체제 전환의 시기에 겪었던 여러 혼란과 같은 것들을 좀 완화시킬 수 있는 그런 노하우를 생성할 수도 있다고 했다.


또한, 국내 고려인 단체와 당사자, 이주배경청소년 지원 기관·단체, 학교 교사 등 현장 관계자들도 국내 고려인 청소년 지원 방안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나눌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The Migrant Youth Support Foundation (Director Yoo Ki-ok) held a policy discussion on “Koryo youth in Korea,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at Fraser Place Namdaemun in Jung-gu, Seoul, on Nov. 1.


The event was organized to help Koryo youth prepare for the future with confidence as valuable members of Korean society, in the face of increasing family-unit migration and the growing concentration of Koryo people in Korea.


In his presentation, “Status of Koryo youth in Korea and proposed support measures,” Song Young-ho, a research fellow at Hanyang University’s Institute of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Studies, introduc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yo compatriots and youth in Korea, and proposed key current issues and potential support measures.


Language barriers and academic maladjustment are top issues

   Of the top three issues for Koryo youth, the first and largest is language barriers and academic maladjustment.

  Due to the low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Koryo youth in densely populated schools are less likely to acquire Korean language skills because they are more likely to be close to their peer groups and not being able to speak Korean right away does not cause much inconvenience in their daily lives.

  Second, there is a lack of after-school programs for Koryo youth.

  Although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ordinances and run care support systems to help them, they are underutilized and the programs still lack infrastructure.

Third, there is a lack of career and advancement programs for stable social transition.

  While programs for migrant youth are mainly designed to support learning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re is a need for programs to support young adults’ socioeconomic adaptation and self-reliance in later stages of their lives, from schooling and employment to marriage and family formation.

  Support for Korean youth should includ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Russian and after-school car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hared learning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s, support organizations (Migrant Youth Support Foundation) and educational cooperation centers.

  It is important to design career advancement programs to work within the local education system.

  There is also an urgent need to produce administrative and survey statistics on the Koryo diaspora.

  It is necessary to produce statistics on the scale of the Koryo settlement in Korea and changes in residence status, as well as disaggregating the statistics by generation, age, length of residence and place of residenc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number of youth and young adults in and out of school.



Education should be customized by considering specific characteristics


Yoon Hyun-hee, a researcher at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resented an “Innovation plan for schools in Koryo population centers,” expla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s in areas with high concentrations of Koryo migrants and presented innovation plans and challenges.


She argued that the recent steep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yo student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densely populated schools means there are many issues that cannot be addressed by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li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level of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s in migrant-dense areas (teacher perceptions),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with limit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mid-entry students is increasing (76.9 percent), resulting in teacher burnout (59.1 percent), while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inadequate (44.4 percent) and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members is very weak (27.8 percent).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teacher expertise (24.3 percent),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not many teachers are certified in Korean language teaching, which puts too much pressure on teachers.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s in migrant-dense areas (teacher perceptions) is, firs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from foreign families with limit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an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joining in the middle of the school year (76.9 percent), resultant teacher burnout (59.1 percent), lack of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44.4 percent), and very little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members (27.8 percent).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teacher expertise (24.3 percent),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not many teachers have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s, which puts too much pressure on teachers.


There also appears to be segregation between immigrant and non-immigrant students (21.1 percent). Korean students end up being marginalized in school environments with majority Koryo popula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ustomized education.


When we say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ng stud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is to allow them to learn together in our classrooms, Korean language and current support are the basis, but based on that,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made to consider their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background to some extent.


There are heartbreaking stories, such as where Russian students were excellent students in Russia, but when they come to Korea, they feel invisible and useless, and there is a sense of sadness that these students are not being educated properly.


The meaning of innovation is to restore the dysfunctional school situation to normal educational activities where everyone can grow, and the school management plan for this is the innovation plan.


Multicultural education is an education system for all students and promotes the growth of all, and therefore needs to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ivic education.


Yoon emphasized the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migrant students (bilingu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as a way to build a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Need for education to strengthen unified Korean identity


Professor Song Seok-won of Kyunghee University gave a presentation on “Domestic Koryo Compatriot Policy and Support for the Next Generation,” addressing the policy environment, challenges and next-generation support for Koryo compatriots living in Korea.


First, he presented equity in legal treatment as a policy issue for Koryo compatriots living in Korea. His suggestions included recognition as settled residents (compatriots) rather than temporary residents (foreigners), compatriot human resources (abolish the visiting employment system), and a reduction in discrimination between the countries of origin of foreign national compatriots living in Korea.


The professor also argued that in addition to the basic education that Koreans need to learn as human beings, education that strengthens their identity as one people should be added, and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both students and parents.


He also suggested that the competitiveness of the next generation of the Koryo community should be strengthened.


H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erception of Koryo people from foreigners to compatriots, an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m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y are not just workers in the so-called 3D industries (dirty, dangerous and difficult) in our society but as people of talent who can develop with us.


In particular, Koryo youth in South Korea are the “greeters” of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have experienced the transition from a socialist system to a capitalist system.


In that sense, they can generate know-how that can alleviate some of the confusion that North Koreans may experience during the transition if Korea is reunified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as explained that domestic Koryo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migrant youth support organizations and groups, school teachers and other such stakeholders working on the ground will also discuss various ways to support Koryo youth in Korea.


퀵메뉴
  • 목차보기
  • 퍼가기
  • 인쇄하기
  • 탑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