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1월호
특집/기획
화제
인물/역사
칼럼/문학
고국소식
재단소식
목록보기

고국소식

 

문화유산

왕릉은 역사를 돌아보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기 좋은 공간이다. 이 중 우리에게 친숙한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묻혀있는 곳 중 하나가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융릉(隆陵)과 건릉(健陵)이다. 조선의 영조와 그의 아들 내외인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손자 정조의 얽히고설킨 이야기는 TV 드라마와 영화, 문학의 단솔 소재였다. 이들을 둘러싼 이야기와 시대적 배경에는 대중의 관심을 끌 만한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영조실록에는 1762년 뒤주에 갇혀 죽음을 맞는 세자의 이야기가 나온다. 세자는 자신을 폐하기로 한 부친 영조 앞에서 머리를 조아렸고, 세손(훗날 정조)도 그 뒤에 엎드렸다. 영조는 세손을 안아 밖으로 내보냈다. 세자는 결국 영조의 명으로 뒤주에 갇힌 지 8일 만에 숨진다. 영조는 한참의 세월이 지난 후 아들을 애도하는 뜻에서 그에게 ‘사도(思悼)세자’라는 시호를 내렸다. 후에 왕위에 오른 정조는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에 그의 왕릉 건설에 심혈을 기울였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융릉


  융릉과 건릉은 서로 가까이 있어 입구가 같다. 왕릉 입구에 도착해 안내 지도를 살펴보니 숲길을 사이에 두고 융릉과 건릉이 표시돼 있고, 입구를 지나니 갈림길이 나왔다. 사도세자와 부인 혜경궁 홍씨가 합장된 융릉이 있는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십여 분 정도 지나자 홍살문이 보이고 그 뒤에 정자각이 눈에 들어왔다.

  현장에 있던 해설사와 함께 능침(陵寢. 왕이나 왕비의 무덤)까지 올라갔다. 자연과 단정하게 어울린 봉분과 주변의 석마(石馬), 문석인(文石人)과 무석인(武石人), 석양(石羊), 석호(石虎)가 보였다. 무엇보다 눈에 띈 것은 봉분을 견고하게 둘러싼 병풍석이었다. 연꽃과 모란 모양이 보였고 그 아래 돌에는 기와 모양의 무늬가 있었다. 화려하고 섬세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사도세자가 숨진 뒤 서울 동대문구 배봉산에 그의 묘가 만들어졌고, ‘수은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아들 정조는 즉위 후 이를 높여 ‘영우원’이라 했다가 1789년 현재의 자리로 옮겨 이름을 ‘현륭원’으로 바꾸었다. 정조는 11년간 12차에 걸쳐 능행(陵行)을 했다. 혜경궁 홍씨는 세상을 떠난 뒤 현륭원에 합장됐고 1899년 이곳이 능으로 높여지면서 현재의 융릉이 됐다.

간소해 보이는 건릉

  이번에는 사도세자의 아버지 정조가 묻혀있는 건릉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역시 해설사와 동행해 능침에 올라가 보니 봉분에는 병풍석 없이 난간석만 있다. 시대적 배경이 달라서 그런지 융릉에 비하면 간소하다는 인상을 받았다. 건릉은 생전에 아버지 곁에 묻히고자 했던 정조의 뜻에 따라 처음에는 현릉원 근처 동쪽 언덕에 조성됐다. 이후 효의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합장하려고 했지만, 건릉의 원래 위치가 풍수상 좋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돼 현재 자리로 건릉이 옮겨지면서 합장릉이 됐다. 당시 정조가 처음 묻혔던 곳은 왕릉 내 숲길 이정표를 따라 조금 걷다 보면 찾을 수 있다. 그 위치가 전해지지 않다가 2011~2012년 왕릉 규모의 봉분 구역과 담장 시설, 유물이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지금은 ‘정조대왕 초장지’(正祖大王 初葬地)라고 적힌 안내판이 있다. 능침 뒤에는 소나무들이 병풍처럼 단정하게 서 있다.

시민들의 휴식 공간

  융릉과 건릉에는 방문객이 끊이지 않았다. 가족, 연인, 친구 단위의 방문객이 이어졌다. 산책로를 따라 이동할 때면 곧게 뻗거나 조금 구부러진 소나무들의 선이 인상적이었다. 벤치도 적절히 배치돼 방문객들이 오손도손 앉아 있었다. 잘 정돈된 공원의 모습이 연상됐다.

  융릉에서 건릉으로 넘어가기 위해 나무계단을 내려가니 은빛의 억새가 펼쳐진 곳도 있었다. 시간대에 따라 보이는 풍경도 달랐다. 해가 비칠 때면 소나무 숲이 상쾌하게 보이다가도 해 질 녘이 되면 쓸쓸하게 느껴졌다. 융릉과 건릉을 포함해 한국에 있는 조선왕릉 40기(基)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정조가 세운 용주사


  융릉과 건릉에서 2km 정도 떨어진 곳에 용주사가 있다. 정조가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 1790년에 새로 지은 사찰로 알려져 있다. 용주사는 원래 신라 때 갈양사로 창건됐다가 고려 때 잦은 전란으로 소실됐는데, 후에 정조가 빈터에 사찰을 새로 지었다. 능침 사찰로서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정조와 효의왕후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홍살문을 지나면 삼문(三門)이 보인다.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궁궐 양식이라고 한다.

  삼문을 지나면 천보루가 보이는데, 목조기둥 아래에 석조 기둥과 같은 높은 초석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 역시 궁궐 건축과 유사하다. 범종각에서는 문살 틈으로 국보인 용주사 동종을 살펴볼 수 있다. 안내판에는 신라 양식을 보이는 고려 시대 초기의 범종이라 적혀 있다.

Royal tombs are great places to reflect on history and appreciate natural beauty. One of these royal tombs, home to some familiar stories, is the Yungneung Royal Tomb (Yungneung) and the Geonneung Royal Tomb (Geonneung)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The intertwined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s King Yeongjo, his sons and daughters, Crown Prince Sado and Lady Hyegyeong of the Hong clan, and grandson Jeongjo have been the subject of TV dramas, movies and literature. There’s a lot to love about the stories and the times surrounding them.

In the records of King Yeongjo, there is a story of a prince who was imprisoned and left to die in a rice chest in 1762. He laid his head down in front of his father, Yeongjo, who had decided to revoke his claim to the throne, and the royal grandson (later Jeongjo) bowed down behind him. Yeongjo embraced his grandson and sent him outside. The prince would eventually die eight days after being imprisoned in the rice chest at Yeongjo’s behest. Many years later, in mourning for his son, Yeongjo gave him the title of Sado (思悼) Crown Prince. Jeongjo, who later ascended to the throne, felt so much longing for his father that he worked hard to build his royal mausoleum.


Colorful and beautiful Yungneung


   Yungneung and Geonneung are close to each other and have the same entrance. When I arrived at the entrance to the royal mausoleum, I looked at the map, which showed Yungneung and Geonneung through a forest path,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I came to a fork in the road. I turned to the right, toward Yungneung, where Crown Prince Sado and his wife, Lady Hyegyeong, are buried. After about 10 minutes, I could see the Hongsal Gate and the pavilion behind it.

  With a local guide, we hiked up to the “neungchim” (陵寢, the tomb of a king or queen). We could see the stone horses, stone men, stone women, stone sunsets, stone tigers and stone lakes that surrounded the tomb. What stood out the most were the folding screen stones that surrounded the tomb. Lotus and peony shapes were visible, and the stones beneath them had tile-like patterns. It created a splendid and delicate atmosphere.

  After Crown Prince Sado’s death, his tomb was built on Mount Baebong in Dongdaemun Ward, Seoul, and was named Sueunmyo.

  After his son, Jeongjo, ascended to the throne, it was elevated and called Yeongwoowon, then renamed Hyunreungwon in 1789, when it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During his 11-year reign, Jeongjo performed 12 visits to the tomb. When Lady Hyegyeong died, she was also buried in Hyeonryungwon, and in 1899, the site was elevated to a ridge and became the current Yungneung.

Simple-looking Geonneung

  This time, we headed to Geonneung, where Crown Prince Sado’s father, Jeongjo, is buried. When I went up to the tomb with a guide, I realized that there were no folding screens, only stone railings. I got the impression that it was simpler than Yungneung because of the different time period.

Geonneung was initially built on the eastern hill near Hyeonneungwon, in accordance with the wishes of King Jeongjo, who wanted to be buried next to his father. Later, when Queen Hyoui passed away, it was intended to be combined, but it was suggested that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tomb was not favorable for feng shui, so the tomb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and became the combined tomb.

The original burial site of King Jeongjo can be found a short walk from the royal tomb by following a forest path with signs posted. The location was not known until 2011-2012, when a royal tomb-sized enclosure, fencing and artifacts were discovered. There is now a signboard that reads King Jeongjo’s Chojangji (正祖大 王 初葬地). Behind the ridge, pine trees stand neatly like folding screens.

Place for citizens to relax

  There was no shortage of visitors to Yungneung and Geonneung. There were families, couples and friends. The straight and slightly curved lines of the pine trees were impressive as you traveled along the promenade. The benches were well placed, and people were sitting on them. It reminded me of a well-organized park.

  As I descended the wooden stairs from Yungneung to Geonneung, I saw a spread of silver mallow. The scenery changed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The pine forest looked refreshing when the sun was shining, but it felt lonely at dusk.

  The 40 tombs of the Joseon Dynasty in Korea, including Yungneung and Geonneung, were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09 in recognition of their historical value.

Yongju Temple, built by King Jeongjo


  About 2 kilometers from Yungneung and Geonneung is Yongju Temple. It is said to be a new temple built in 1790 by King Jeongjo in honor of Crown Prince Sado. Yongju Temple was originally founded as Galyang Temple during the Silla Dynasty but was burned down during the frequent wars in Goryeo, and Jeongjo later built a new temple on the empty site. The temple is enshrined with plaques of Crown Prince Sado, Lady Hyegyeong, and King Jeongjo and Queen Hyoui. After passing through the Hongsal gate, you will see the three gates. It is said to be a palace style not found in other temples.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ee gates, you will see Cheonboru, which is characterized by high stone pillars beneath wooden pillars. This is also similar to palace architecture. At Beomjonggak, you can see the national treasure, Yongju Temple, through a gap in the doorway. The information board says that it was built in the early Goryeo period in the Silla style.

퀵메뉴
  • 목차보기
  • 퍼가기
  • 인쇄하기
  • 탑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