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1월호
특집/기획
화제
인물/역사
칼럼/문학
고국소식
재단소식
목록보기

고국소식

 

한민족공감

일제 강점기에 러시아 사할린 지역으로 강제동원됐다가 희생된 사람들의 유해 국내 봉환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해를 넘겼다. 일본에 있는 우키시마호 사건 희생자 유해들과 중국 하이난에 있는 강제동원 피해자 유해들도 상대국의 비협조 등으로 봉환에 난항을 겪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2020년부터 작년까지 모두 8차례 사할린 한인 유해 봉환 신청을 받은 끝에 총 17위의 유해를 선정해 봉환을 추진했다. 애초 지난해 9월 중 봉환을 완료해 충남 천안 국립망향의동산에 안치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가 전쟁 중이라 봉환 협조가 어렵다는 뜻을 전해와 연기됐다.


사할린은 일제 강점기에 수만 명의 조선인이 강제로 끌려가 탄광·토목공사장·공장 등에서 혹독한 노동에 시달린 현장이다. 학계에서는 2차대전 종전 당시 4만명 이상의 한인이 사할린에 남아 있던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이들은 해방 후에도 일본 정부의 방치와 미수교국이었던 옛 소련과의 관계 탓에 1990년 한·러 수교 전까지 귀국길에 오르지 못했다. 상당수는 고국 땅을 밟지 못한 채 이국에서 별세했다.

정부는 러시아 정부와 사할린 한인 묘지 발굴·유해 봉환에 합의한 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7차례에 걸쳐 총 71위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했다. 이후 코로나19로 봉환 추진이 어려워졌고, 지난해가 돼서야 본격적으로 봉환을 재추진했으나 전쟁으로 봉환 길이 다시 막혔다. 행안부 관계자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기다릴 수 없으니 올해 다시 러시아 정부와 협의해 봉환 방법을 찾을 것”이라며 “연초에 계획을 세워 러시아에 공문을 보내는 등 협조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유족들 “외부 환경 어려워도 봉환 더 적극 추진해야”


1945년 우키시마호 사건으로 희생돼 일본 도쿄도 유텐지에 있는 강제동원 피해자 유해 275위의 봉환도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우키시마호는 일제가 태평양전쟁에서 패배한 직후 아오모리에서 출발했다가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발로 마이즈루 인근 해역에서 침몰했다. 이 배에는 귀국길에 있던 조선인 징용 피해자 등 3천700명가량이 타고 있었다.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일본인 승무원 25명을 포함해 549명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2008년부터 우키시마호 희생자 유해의 봉환을 추진했다. 하지만 유족들이 사건의 진상이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해를 봉환하면 진상 조사를 하지 않을 빌미가 될 수 있고, 일본의 책임이 없는 것으로도 비칠 수 있다며 반대해 15년 동안 진전이 없다.


중국 하이난섬에 있는 강제동원 피해자 유해 봉환도 중국 정부의 비협조로 사실상 추진이 멈춘 상태다. 하이난섬은 일본이 1945년 패망한 후에도 조선인을 학살한 곳으로, 1천200구의 유골이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정부는 중국이 하이난섬 유해들을 조사한 현황 자료 및 하이난섬에 대한 공동 조사를 중국 정부에 요구하고 있으나 별다른 답을 받지 못하고 있다.


외부 여건이 녹록지 않지만, 정부가 공문에 대한 답을 기다리는 데 그치지 않고 좀 더 적극적으로 봉환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부친이 사할린에 강제동원됐던 신윤순 사할린 강제동원 억류피해자 한국잔류유족회장은 “2011년 사할린에 가보니 비석이 없는 묘도 많고, 봉분들만 동그랗게 남아 있는데 세월이 많이 흘러 이미 많이 낮아졌더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갈수록 묘 자체가 찾기 힘들어질 텐데 목소리를 내는 유족분들도 대부분 돌아가셨고, 이제 우리가 죽으면 누가 유해 봉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할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The repatriation of the remains of people who were forced to work in the Sakhalin region of Russi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has been delayed by the Russia-Ukraine war. The remains of the victims of the Ukishima incident in Japan and the victims of forced labor in Hainan, China, are also facing difficulties in repatriation due to non-cooperation from the respective countri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government received eight applications for the repatriation of Korean remains in Sakhalin between 2020 and 2023, and selected the 17 most important remains for repatriation. Initially, it was planned to complete the repatriation in September last year and enshrine them at the National Mang-Hyang National Cemetery in Cheon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but it was postponed after Russia said it was difficult to cooperate with the repatriation because it was at war.


Sakhalin is the site where tens of thousands of Koreans were forcibly tak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subjected to grueling labor in coal mines and civil engineering work in factories.


Scholars estimate that more than 40,000 Koreans remained in Sakhalin at the end of World War II. However, due to the Japanese government’s neglect and relations with the former Soviet Union, they were not allowed to return home until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in 1990. Many passed away in foreign countries without ever setting foot back in their homeland.


After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Russian government to excavate and return the remains of Koreans in Sakhalin, 71 remains were returned to Korea in seven rounds between 2014 and 2019.


The coronavirus made it difficult to carry out the repatriation, and it wasn’t until last year that the government resumed the program, but the war again blocked the way.

Relatives: ‘We need to push harder for repatriation despite difficult external environment’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for the return of the 275th victim of forced labor from Yutenji, Tokyo, Japan, who was killed in the Ukishimamaru incident in 1945. The Ukishima sailed from Aomori shortly after Japan’s defeat in the Pacific War and sank in waters near Maizuru due to an unexplained explosion. The ship was carrying about 3,700 people, including victims of Korean forced labor, who were on their way home. The death toll from the accident was reportedly 549, including 25 Japanese crew members.


The government has been pushing to return the remains of the Ukishima victims since 2008. However, the process has been stalled for 15 years due to opposition from the families of the victims, who say that returning the remains could be used as an excuse not to investigate the truth of the disaster and could be seen as a reflection of Japan’s lack of responsibility.


The return of the remains of victims of forced labor on China’s Hainan Island has also come to a virtual standstill due to the Chinese government’s non-cooperation. Hainan is the site of the Japanese massacre of Koreans after their defeat in 1945, with an estimated 1,200 remains buried the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requested data on the status of China’s investigation of the remains and a joint investigation of Hainan Island but has received no concrete response.


Despite the difficulties, some believe that the government should be more proactive in pursuing the repatriation, rather than just waiting for answers to official letters. “When I went to Sakhalin in 2011, there were many graves without headstones, and only round stones remained, which had already deteriorated over the years,” said Shin Yoon-soon, presid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urvivors of Forced Labor in Sakhalin, whose father was a forced laborer in Sakhalin. “The graves themselves are getting harder to find, but most of the survivors who are speaking out have passed away, and we are worried about who will actively push for the return of our remains when we die.”


퀵메뉴
  • 목차보기
  • 퍼가기
  • 인쇄하기
  • 탑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