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3월호
특집/기획
화제
인물/역사
칼럼/문학
고국소식
재단소식
목록보기

고국소식

 

문화유산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뒤에는 내가 너이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 이는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과 함께 나라를 구한 대표적 인물인 서산대사(1520∼1604)가 평안도 묘향산에서 입적하기 직전 미리 마련해둔 자신의 영정을 꺼내 든 뒤 그 뒷면에 쓴 시다.


자신의 본마음은 80년 전이나 후나 하나임을 표현한 시구로 풀이된다. 그가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지키는 호국정신을 늘 간직하고 있었음을 상징한다.


서산대사 의발(衣鉢) 간직한 대흥사


  서산대사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5천여 명의 승병을 이끌고 최전방에서 전투를 벌여 왜군으로부터 평양과 한양을 탈환하는 등 큰 공을 세웠다. 전란이 끝나자 서산대사는 선조로부터 받은 벼슬을 제자에게 물려주고 평안도 묘향산에 들어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며 수도하다 세상을 떠났다.

  그는 자신의 의발, 즉 가사와 발우를 전남 해남의 대흥사에 보관하라는 유언을 했다. 대흥사를 ‘삼재불입지처(三災不入之處, 전쟁을 비롯한 삼재가 미치지 못할 곳) 만세불훼지지(萬世不毁之地, 만 년 동안 훼손되지 않을 땅)’라고 지칭하면서 말이다.

  불교에서 승려의 의발은 스승이 제자에게 물려주는 교법, 즉 법통을 상징한다. 선조가 하사했던 금란 가사와 옥발우, 수저, 염주 등 서산대사의 유품이 옮겨지고, 그의 제자 수백 명도 이주하면서 대흥사는 서산대사의 법통을 이은 호국 사찰로 거듭났다. 서산의 의발은 현재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굴욕을 씻고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고자 했던 정조는 서산대사의 충절을 널리 알리고 후대가 본받기를 바랐다. 1798년 대흥사 경내에 서산을 추모하는 표충사(表忠祠)를 짓게 하고, 편액을 직접 써 하사했다. 서산·사명·처영 대사의 진영(초상화)가 걸려 있는 표충사의 편액은 정조의 친필 휘호다. 표충사에서는 서산대사를 기리는 유교식 제향이 매년 봄·가을 봉행된다.

  2018년 유네스코는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와 함께 대흥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 서산대사 제향을 주목하고, 불교와 유교의 공존 문화를 높이 평가했다.

  서산대사는 후계 사찰로 대흥사를 왜 지목했을까. 각지를 주유하던 젊은 시절 두륜산과 대흥사를 방문했던 그는 제자들에게 해남은 토양이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해 살기 좋고, 한양에서 멀어 정치 소용돌이에 휩쓸리지 않을 곳이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구곡팔봉(九谷八峰), 즉 아홉 계곡과 여덟 봉우리로 이루어진 두륜산을 배경으로 한 대흥사의 창건된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하지만 대흥사 측은 신라 진흥왕 5년(544년)에 아도화상이 이 절을 창건했다는 기록을 따르고 있다. 조선 후기 대흥사에서는 대종사 13명, 대강사 13명이 배출됐다.

  서산대사의 유지를 잇기 위해 대흥사에는 호국 대성전이 건립되고 있다. 7년여의 공사 끝에 건물 공사가 최근 끝났다. 내부를 꾸미는 작업은 앞으로 3년이 더 걸린다고 한다. 목조 불교 건물로는 국내 최대가 될 호국 대성전에는 임진왜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민주화운동 때 숨진 군인, 독립운동가, 열사는 물론 경찰, 소방관 등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모든 선열을 기리는 제단이 마련된다.

한라산과 마주 보는 두륜산


대흥사 경내에 들어서면 단박에 눈길을 사로잡는 건 대흥사를 빙 둘러싼, 부드러운 두륜산 능선이다. 비슷한 느낌을 주는 산이나 능선을 다른 곳에서 본 적이 없었다.


대흥사는 두륜산이 만든 분지의 한가운데 폭 안겨 있다. 공중에서 보면 여덟 봉우리는 물이 마른 백두산 천지의 축소판 같은 소천지를 만든다. 두륜산을 연꽃이라 치면 대흥사 자리는 꽃 수술에 해당한다.


두륜봉(630m), 가련봉(703m), 노승봉(685m), 고계봉(638m), 향로봉(469m), 혈망봉(379m), 연화봉(613m), 도솔봉(672m)이 대흥사를 원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노승봉에 올라섰을 때 멀리 남쪽에 구름 위로 솟은 한라산이 보였다. 길을 안내한 박충배 전 대흥사 성보박물관장은 10번 이상 두륜산에 올랐지만, 한라산 조망은 처음이라며 반가워했다.


북쪽으로 월출산, 동쪽으로 천관산 등 명산이 보이고 진도, 완도, 강진, 목포 앞 바다가 눈이 시리도록 푸르게 펼쳐졌다. 대흥사 마당에서 올려다보면 두륜봉, 가련봉, 노승봉은 누워 있는 부처의 모습을 하고 있다.


두륜산은 완만한 흙산이지만 실제 올라 보니 암릉 구간이 북한산 의상능선이나 설악산 공룡능선 못지않게 오르기가 까다로웠다. 다행히 나무 데크 계단이 설치돼 있어 위험하지는 않았고, 평일인데도 등산객이 꾸준히 이어졌다.


대흥사에서 처음 지어진 암자였던 만일암 터에는 고려 시대 중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5층 석탑이 엉거주춤하게 서서 보존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이 터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수령 1천200∼1천500년으로 추정되는 느티나무가 버티고 있다. ‘천년수’라 불리는 이 나무는 좌우 균형이 잘 잡혀 모양이 일품이다. 그 균형 때문에 1천년 이상의 장구한 시간을 버틴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Eighty years ago you were me, and eighty years later, I am you” (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 我是渠). This is a poem written by Seosan Daesa (1520-1604),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aved the country alongside Gen. Yi Sun-sin during the Imjin War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ritten by him on the back of his funeral portrait just before attaining enlightenment at Myohyang Mountain in Pyongan Province.


The poem expresses that his true heart is the same 80 years later as it was 80 years ago.


It symbolizes that he always had a patriotic spirit of loving his people and protecting his country.


Daeheung Temple, where Seosan Daesa’s garments and alms bowl are kept


  At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Seosan Daesa led more than 5,000 men to fight on the front lines, achieving great victories, including the recapturing of Pyongyang and Hanyang from the Japanese. At the end of the war, Seosan Daesa passed on his government post that had been passed down by his ancestors to his disciple and entered Myohyang Mountain in Pyongan Province to pray for the peace of the nation until he passed away.

  He made a will that his garments and alms bowl, namely his robes and dish, be kept in Daeheung Temple in Haenam, South Jeolla Province. In his will, he referred to Daeheung Temple as “the place where the three calamities, including war, will not enter” and “the land that will not be damaged for 10,000 years.

”   In Buddhism, a monk’s robes symbolize the teachings, or lineage, that a master passes on to his students. Seosan Daesa’s relics, including a golden robe, jade shoes, cutlery and prayer beads given to him by his ancestors, were moved, and hundreds of his disciples also migrated, making Daeheung Temple a patriotic sanctuary that continues Seosan Daesa’s religious teachings. Seosan Daesa’s garments are now on display at the Seongbo Museum in Daheung Temple.

  Jeongjo, who wanted to cleanse the country of the humiliation of the Imjin War and Byeongjahoran, and make it stronger, publicized Seosan Daesa’s integrity and hoped that future generations would emulate it. In 1798, he ordered the construction of a shrine in memory of Seosan Daesa in the precincts of Daeheung Temple, and donated a votive tablet personally penned by him. The votive tablet portraits of Seosan, Samyeong and Cheoyeong hanging in Pyochung Temple are in Jeongjo’s handwriting. A Confucian-style incense ceremony in honor of Seosan Daesa is held every spring and fall at Pyochung Temple.

  In 2018, when UNESCO inscribed Daeheung Temple as a World Heritage Site, alongside Yangsan Tongdo Temple, Yeongju Buseok Temple, Andong Bongjeong Temple, Boeun Beopju Temple, Gongju Magok Temple and Suncheon Sunam Temple, the organization noted Daeheung Temple’s rites carried out for Seosan Daesa, and praised the culture of coexistence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Why did Seosan Daesa choose Daeheung Temple to carry on his legacy? As a young man traveling around the country, he visited Duryun Mountain and Daeheung Temple, and it is said that he emphasized to his disciples that Haenam was a good place to live because of its fertile soil and abundant products, and that it was far from Hanyang and would not be swept up in the political maelstrom.

  Set against the backdrop of Duryun, which has nine valleys and eight peaks, there are many theories as to when Daeheung Temple was founded. However, Daeheung Temple goes by the record that Ado Hwasang founded the temple in the fifth year of King Jinheung of Silla (544). In the late Joseon Dynasty, Daeheung Temple produced 13 high abbots and 13 great instructors.

  A great patriotic sanctuary is being built in Daeheung Temple to continue the legacy of Seosan Daesa. After more than seven years of construction, the building was recently finished. It will take another three years to decorate the interior. The great patriotic sanctuary, which will be the largest wooden Buddhist building in Korea, will have an altar to honor all those who died during the Imjin War, the Japanese occupation, the Korean War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cluding soldiers and independence activists, and martyrs, but also police, firefighters and others who sacrificed their lives for the country.

Duryun faces Mount Halla


When you enter the grounds of Daeheung Temple, the first thing that immediately catches your eye is the gentle ridge of Duryun’s peaks that surrounds the temple. I’ve never seen a similar mountain or ridge anywhere else.


Daeheung Temple is nestled in the middle of a basin created by Duryun. From the air, the eight peaks create a microcosm of the parched heaven and earth of Paekdu Mountain. If Duryun is a lotus flower, then Daeheung Temple is the stamen.


Duryun Peak (630 meters), Garyeon Peak (703 meters), Noseung Peak (685 meters), Gogye Peak (638 meters), Hyangro Peak (469 meters), Pyeongmang Peak (379 meters), Yeonhwa Peak (613 meters) and Dosol Peak (672 meters) surround Daeheung Temple in a circle.


As I stood on Noseung Peak, I could see the Mount Halla volcano rising above the clouds in the distance to the south. Park Chungbae, former director of the Seongbo Museum at Daeheung Temple, who guided us, said he had climbed Duryun more than 10 times, but this was his first time to see Mount Halla.


The mountains of Mount Wolchul to the north, Mount Cheonguan to the east and the sea in front of Jindo, Wando, Gangjin and Mokpo spread out in a dazzling blue color. Looking up from the courtyard of Daeheung Temple, Duryun Peak, Garyeon Peak and Noseung Peak resemble a reclining Buddha.


Duryun is a gentle earthen mountain, but when I actually climbed it, I found the rocky sections to be as difficult to climb as Mount Bukhan’s Euisang routes or Mount Seorak’s Gongryong trail.


Fortunately, wooden stairs were installed so it wasn’t dangerous, and there was a steady stream of hikers even on a weekday.


At the site of Manilam, which is where Daeheung Temple was first built, a five-story stone pagoda,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the mid-Goryeo Dynasty, stands haphazardly, waiting to be preserved.


Not far from the site is a zelkova tree estimated to be 1,200 to 1,500 years old. Called the “millennium tree,” it has an exquisite shape, balanced from side to side. It suddenly occurred to me that its balance might be the reason it has survived for more than 1,000 years.


퀵메뉴
  • 목차보기
  • 퍼가기
  • 인쇄하기
  • 탑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