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3일 “북·미 대화가 중단되고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최근 상황은 우리 양국은 물론 북한에도 결코 이롭지 않다”고 말했다.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을 방문한 문 대통령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가진 회담에서 이같이 말하며 “모처럼 얻은 기회가 결실로 이어지도록 더욱 긴밀히 협력해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북한의 도발 우려가 강해지며 한반도 정세의 긴장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중국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 달라는 당부의 메시지로 읽힌다.
“잠시 섭섭할 수 있지만 양국 멀어질 수 없어”… 시 주석 방한 초청
문 대통령 “한·중·일, 조속한 북·미대화로 평화 진전 함께 노력하기로”
문 대통령은 이어 12월 24일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의 국제회의센터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가졌다. 문 대통령은 공동언론발표에서 “한·중·일 3국은 한반도 평화가 3국 공동이익에 부합한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했고, 조속한 북·미대화를 통해 비핵화와 평화가 실질적으로 진전되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앞으로도 한반도의 비핵화, 항구적 평화를 위해 긴밀한 소통·협력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동북아 3국 정상이 북·미대화 재개를 촉구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을 강조한 것으로, 북한의 ‘중대도발’ 자제와 대화 복귀 여부가 주목된다. 이어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나는 20년간 발전해온 양국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고, 국민이 협력 성과를 체감하도록 실질 협력 수준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기로 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오늘 회의는 3국 협력의 미래를 밝게 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3국 협력 정례화의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며 “2012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된 게 이미 큰 성과로, 내년에는 한국이 이어서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차기 의장국으로서 3국 협력 성과가 국민 삶을 이롭게 하도록 책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 아베 총리와 만나… ‘수출규제 조속해결’ 강조
청와대, 시 주석 올해 상반기 방한 확정적
한편 청와대는 12월 2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내년 상반기 방한이 확정적”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구체적 시기 등은 최종 조율을 거쳐야 하지만 시 주석의 방한은 확정적이라고 보셔도 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중 정상은 12월 23일 회담에서 사드 문제의 해결에 진전을 보지 못했으나 양국 간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이룬 바 있다. 이 때문에 2020년 상반기 시 주석이 방한한다면 이를 계기로 양 정상이 봉인 상태의 사드 갈등을 해결에 마침표를 찍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조심스레 제기된다. 이와 맞물려 사드 배치에 대응해 한류 금지와 한국 여행상품 판매 중단 등으로 대응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이 완벽히 해제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