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고국과 멀리 떨어진 미국 하와이에서 독립활동을 벌인 한인 청년단체 모습이 담긴 사진과 영자지 신문 등 자료가 8월 13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독립기념관은 제73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하와이 한인사회의 민족교육 지도자이자 청년운동가인 강영각(1896∼1946) 선생을 비롯한 한인 청년단체의 활동상을 담은 자료들을 이날 공개했다. 이들 자료는 강 선생의 딸 수잔 강 여사(74·하와이 거주)가 지난 6월에 기증한 것이다.
기증된 자료는 1920∼1930년대 강 선생과 하와이 한인 청년단체의 활동 모습을 담은 사진첩 2권(323장)과 그가 발행인이자 주필로 활동한 영자지 ‘더 영 코리언(The Young Korean)’ 35점, ‘더 어메리컨 코리언(The American Korean)’ 24점 등 총 382점이다. 사진첩에는 당시 하와이 한인 청년들이 모여 고국의 독립운동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 등 일제 투쟁 방향을 논의하는 장면들이 생생하게 담겼다. ‘더 영 코리언’은 미주 지역 한인사회의 최초 영자 신문으로, 특히 해마다 3·1절 관련 기사를 빠뜨리지 않고 전했으며 일본 제국주의가 저지른 한반도, 중국, 동남아 등 침탈 행위를 보도하기도 했다. 그때 한인사회는 3·1절을 한국독립기념일로 정하고 1천여 명이 모인 가운데 태극기를 흔들며 야외 집회를 열었다. 강 선생이 한글이 아닌 영어로 신문을 발간한 것에 대해 독립기념관 측은 ‘한인사회보다 20배나 큰 규모의 일본인사회가 주류를 차지하는 하와이에서 조선에 대한 왜곡된 뉴스를 바로잡고, 조선인의 우수성과 독립에 대한 의지를 널리 알리는 창구 역할을 톡톡히 했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