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8 7 0
2011년 6월호
2011년 7월호
2011년 8월호
2011년 9월호
2011년 10월호
2011년 11월호
2011년 12월호
2012년 3월호
2012년 4월호
2012년 5월호
2012년 6월호
2012년 7월호
2012년 8월호
2012년 9월호
2012년 10월호
2012년 11월호
2012년 12월호
2013년 1월호
2013년 2월호
2013년 3월호
2013년 4월호
2013년 5월호
2013년 6월호
2013년 7월호
2013년 8월호
2013년 9월호
2013년 10월호
2013년 11월호
2013년 12월호
2014년 01월호
2014년 02월호
2014년 03월호
2014년 04월호
2014년 05월호
2014년 06월호
2014년 07월호
2014년 08월호
2014년 09월호
2014년 10월호
2014년 11월호
2014년 12월호
2015년 01월호
2015년 02월호
2015년 03월호
2015년 04월호
2015년 05월호
2015년 06월호
2015년 07월호
2015년 08월호
2015년 09월호
2015년 10월호
2015년 11월호
2015년 12월호
2016년 01월호
2016년 02월호
2016년 03월호
2016년 04월호
2016년 05월호
2016년 06월호
2016년 07월호
2016년 08월호
2016년 09월호
2016년 10월호
2016년 11월호
2016년 12월호
2017년 01월호
2017년 02월호
2017년 03월호
2017년 04월호
2017년 05월호
2017년 06월호
2017년 07월호
2017년 08월호
2017년 09월호
2017년 10월호
2017년 11월호
2017년 12월호
2018년 01월호
2018년 02월호
2018년 03월호
2018년 04월호
2018년 05월호
2018년 06월호
2018년 07월호
2018년 08월호
2018년 09월호
2018년 10월호
2018년 11월호
2018년 12월호
2019년 02월호
2019년 03월호
2019년 04월호
2019년 05월호
2019년 06월호
2019년 07월호
2019년 08월호
2019년 09월호
2019년 10월호
2019년 11월호
2019년 12월호
2020년 01월호
2020년 02월호
2020년 03월호
2020년 04월호
2020년 05월호
2020년 06월호
2020년 07월호
2020년 08월호
2020년 09월호
2020년 10월호
2020년 11월호
2020년 12월호
2021년 1-2월호
전 세계 한인 정치인이 한자리에 모이는 ‘제5차 세계한인정치인포럼’이 5월 29일 일부터 6월 2일까지 서울과 제주에서 개최되었다. 세계한인정치인협의회(회장 씬디 류) 주최와 재외동포재단(이사장 주철기) 후원 으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한 글로벌..
한국과 몽골은 1990년 수교 이래 여러 방면에서 빠른 속도로 교류와 협력을 발전 시켜왔다. 양국 간 활발한 인적교류가 이를 뒷받침해준다. 현재 한국에는 3만여 명의 몽골인이 거주하고 있다. 몽골 전체인구의 약 1%에 해당한다. 유학이나 취업 등으로 한국에서 거주하고 몽골로 귀국한 몽골인은 30만 명을..
문재인 대통령이 특사를 통한 간접적인 4강(强) 정상외교를 사실상 마무리 지으 면서 ‘외교 정상화’의 초석을 다졌다. 문 대통령은 5월 24일 임무 수행을 마친 미국·중국·일본 특사단을 청와대에서 접견하고 특사외교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를 점검했다. 러시아 특사인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동포 거상(巨商)들의 성공기 ‘한상 세계를 품다’
가나에서 유류저장 시설 분야에서 90%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가나 최대 건설사 글로텍엔지니어링의 임도재, 자동차· 오토바이·유통·은행·신문 등 그룹경영으로 ‘라오..
‘몽골의 슈바이처’로 추앙받는 독립운동가 이태준..
국가보훈처는 올해 1월 30일 몽골에서 의술을 펼치면서 독립운동을 도운 대암(大岩) 이태준(1883~1921) 선생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태준은 누구..
佛 대선, 마크롱 당선에 한인사회 안도… “한국..
프랑스 대통령에 에마뉘엘 마크롱이 당선되자 외교가와 프랑스 한인사회는 불확실성이 크게 해소됐다면서 안도 하는 분위기다. 마크롱은 경제와 대외관계 등에 있어서..
일본에 전통 한식 ‘음식디미방’ 보급하는 조선옥 씨
“한일 음식문화 교류 활성화를 위해 조선 시대 양반가의 전통 요리인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의 일본 보급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농수산물유통공사 주최로 5월 11일..
본고장에서 맛보는 별미 왕갈비, ‘수원갈비’
올 9월부터 佛 초·중·고교서한국어 이중언어교육 실시
재단 중국에서 조선족 차세대 육성 현황..
변겨레 아르헨 차관보 제주외고서 재외..
러시아·CIS 고려인 예술단원들 남도국악..
재외동포신문고 서비스
독자후기
발행인 : 주철기
발행처 : 재외동포재단 홍보문화부 pr@okf.or.kr
제작 : 연합뉴스
6th Floor, Diplomatic Center 2558 Nambusunhwan-ro, Seoul, Korea
Copyright(C) Overseas Koreans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Tel.82-2-3415-0100 / Fax.82-2-341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