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재외동포인가’의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전히 국적이지만 현지 정착을 이유로 우리 국적을 포기한 외국 국적 소지자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한국인의 범주 속에 포함시키고 있었다. 이는 그만큼 우리 국민이 생각하는 재외동포의 개념과 범위가 우리 국적 소지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사례이다.
진정한 한국 사람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한국인이라는 자부심과 의식’(44.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대한민국 국적’(24.8%), ‘한국 혈통’(21.8%), ‘평생의 대부분을 한국에서 사는 것’(5.8%), ‘한국어 사용’(3.5%) 등을 꼽았다.
재외동포재단이 실시하고 있는 사업 중 ‘세계한상대회’에 대해 34.8%가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것에 비해 ‘세계한상대회가 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은 63.6%로 ‘세계한상대회’가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누가 재외동포인가’의 기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전히 국적이지만 현지 정착을 이유로 우리 국적을 포기한 외국 국적 소지자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한국인의 범주 속에 포함시키고 있었다. 이는 그만큼 우리 국민이 생각하는 재외동포의 개념과 범위가 우리 국적 소지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사례이다.
진정한 한국 사람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한국인이라는 자부심과 의식’(44.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대한민국 국적’(24.8%), ‘한국 혈통’(21.8%), ‘평생의 대부분을 한국에서 사는 것’(5.8%), ‘한국어 사용’(3.5%) 등을 꼽았다.
재외동포재단이 실시하고 있는 사업 중 ‘세계한상대회’에 대해 34.8%가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것에 비해 ‘세계한상대회가 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은 63.6%로 ‘세계한상대회’가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